본문 바로가기
살림 노트/생활 꿀팁

A1, A2, A3, A4, A5 크기 사이즈 차이 – 한눈에 비교 (2025 최신)

by 살림킹 2025. 5. 17.
반응형

A1, A2, A3, A4, A5 크기 사이즈 차이 – 한눈에 비교 (2025 최신)

A1, A2, A3, A4, A5 크기 사이즈 차이 – 한눈에 비교 (2025 최신)

인쇄물 작업, 디자인, 제안서 제작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위가 바로 A 시리즈 용지 규격입니다. 하지만 A1, A2, A3, A4, A5가 실제로 어느 정도 크기인지 정확히 아는 분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포스터는 A1으로 제작해야 하나?”
“A3는 A4보다 얼마나 클까?”
“A5는 리플렛에 적당할까?”

 

이런 실용적인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이번 글에서는 A1~A5 용지 크기 차이, 용도별 활용법, 선택 팁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A 시리즈란?

A 시리즈는 국제 표준 규격 ISO 216에 따라 정의된 종이 크기 체계입니다. 가장 큰 A0부터 시작해 절반씩 접거나 자르면서 A1, A2, A3... A5로 이어집니다.

  • 기준이 되는 A0는 면적이 1㎡이며, 사이즈는 약 841mm × 1189mm입니다.
  • 이후 A1은 A0의 절반, A2는 그 절반… 이런 식으로 작아지는 구조입니다.

A1 ~ A5 종이 크기 (단위: mm 기준)

  • A1: 594 × 841
    전시 포스터, 설계 도면 등 대형 출력물에 사용됩니다.
  • A2: 420 × 594
    행사 포스터, 벽걸이 캘린더 등 벽면 부착용으로 적합합니다.
  • A3: 297 × 420
    제안서, 보고서, 프레젠테이션 인쇄용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 A4: 210 × 297
    일반 문서용으로 가장 자주 사용하는 크기입니다.
  • A5: 148 × 210
    리플렛, 소형 안내문, 미니 노트 등에 적합합니다.

A1부터 A5까지 점점 작아지며, A4는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크기입니다.

 

상황별 추천 용도

  • A1: 전시회 발표 패널, 대형 설계도면, 건축 스케치
  • A2: 실내 포스터, 행사 일정표, 학술 포스터
  • A3: 회의 브로셔, 포트폴리오 인쇄, 도면 출력
  • A4: 계약서, 안내문, 시험지 등 일상 문서 용도
  • A5: 리플렛, 접이형 안내장, 소형 다이어리

실제 인쇄물 제작 현장에서 A 시리즈는 크기별로 이렇게 활용됩니다. 포스터는 A2, 문서는 A4, 리플렛은 A5가 일반적입니다.

 

체감 크기 예시

  • A1: 성인 상반신만큼 큰 크기
  • A2: 벽걸이 달력 정도의 크기
  • A3: 스케치북과 비슷한 크기
  • A4: 프린트 기본 용지 크기
  • A5: 손바닥만 한 미니 리플렛

왜 정확히 알아야 할까?

  1. 디자인 기획 시 작업 정확도와 효율 향상
  2. 인쇄소 커뮤니케이션 시 명확한 전달 가능
  3. 브로슈어, 포스터 등의 완성도와 가독성 확보

결론

  • A 시리즈는 A0 기준에서 절반씩 나누는 구조입니다.
  • A4는 일상 문서에 가장 많이 쓰이고, A3는 프레젠테이션용, A2와 A1은 대형 출력물에 적합합니다.
  • 목적에 맞는 용지를 선택하면 인쇄 퀄리티와 전달력이 확실히 달라집니다.

지금 기획 중인 인쇄물, 어떤 크기가 가장 적절한지 이 글을 참고해 다시 한번 검토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