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1, A2, A3, A4, A5 크기 사이즈 차이 – 한눈에 비교 (2025 최신)
인쇄물 작업, 디자인, 제안서 제작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위가 바로 A 시리즈 용지 규격입니다. 하지만 A1, A2, A3, A4, A5가 실제로 어느 정도 크기인지 정확히 아는 분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포스터는 A1으로 제작해야 하나?”
“A3는 A4보다 얼마나 클까?”
“A5는 리플렛에 적당할까?”
이런 실용적인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이번 글에서는 A1~A5 용지 크기 차이, 용도별 활용법, 선택 팁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A 시리즈란?
A 시리즈는 국제 표준 규격 ISO 216에 따라 정의된 종이 크기 체계입니다. 가장 큰 A0부터 시작해 절반씩 접거나 자르면서 A1, A2, A3... A5로 이어집니다.
- 기준이 되는 A0는 면적이 1㎡이며, 사이즈는 약 841mm × 1189mm입니다.
- 이후 A1은 A0의 절반, A2는 그 절반… 이런 식으로 작아지는 구조입니다.
A1 ~ A5 종이 크기 (단위: mm 기준)
- A1: 594 × 841
전시 포스터, 설계 도면 등 대형 출력물에 사용됩니다. - A2: 420 × 594
행사 포스터, 벽걸이 캘린더 등 벽면 부착용으로 적합합니다. - A3: 297 × 420
제안서, 보고서, 프레젠테이션 인쇄용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 A4: 210 × 297
일반 문서용으로 가장 자주 사용하는 크기입니다. - A5: 148 × 210
리플렛, 소형 안내문, 미니 노트 등에 적합합니다.
상황별 추천 용도
- A1: 전시회 발표 패널, 대형 설계도면, 건축 스케치
- A2: 실내 포스터, 행사 일정표, 학술 포스터
- A3: 회의 브로셔, 포트폴리오 인쇄, 도면 출력
- A4: 계약서, 안내문, 시험지 등 일상 문서 용도
- A5: 리플렛, 접이형 안내장, 소형 다이어리
체감 크기 예시
- A1: 성인 상반신만큼 큰 크기
- A2: 벽걸이 달력 정도의 크기
- A3: 스케치북과 비슷한 크기
- A4: 프린트 기본 용지 크기
- A5: 손바닥만 한 미니 리플렛
왜 정확히 알아야 할까?
- 디자인 기획 시 작업 정확도와 효율 향상
- 인쇄소 커뮤니케이션 시 명확한 전달 가능
- 브로슈어, 포스터 등의 완성도와 가독성 확보
결론
- A 시리즈는 A0 기준에서 절반씩 나누는 구조입니다.
- A4는 일상 문서에 가장 많이 쓰이고, A3는 프레젠테이션용, A2와 A1은 대형 출력물에 적합합니다.
- 목적에 맞는 용지를 선택하면 인쇄 퀄리티와 전달력이 확실히 달라집니다.
지금 기획 중인 인쇄물, 어떤 크기가 가장 적절한지 이 글을 참고해 다시 한번 검토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살림 노트 > 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지원금, 나도 받을 수 있을까? 보조금24로 한눈에 확인하는 법 (2) | 2025.05.17 |
---|---|
지금 나도 받을 수 있을까? 재난지원금 조회 방법 총정리 (1) | 2025.05.17 |
2025 청년 여행 지원금 총정리! 바우처·기차패스·지자체 혜택까지 한눈에 (1) | 2025.05.16 |
소득·자산 안 봅니다! 전세임대형 든든주택 5,000가구 신청 시작 (0) | 2025.05.15 |
봄철 식중독 원인 음식 & 예방법 (2025년 최신) (0)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