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이런 분들께 도움이 됩니다
요즘 들어 갑자기 어지럽고 식은땀이 나거나, 햇빛에 오래 있었더니 멍한 느낌이 계속되는 분.
혹시 ‘더위 먹은 거 아닐까?’ 싶다면 이 글에서 정확한 증상과 대처법을 꼭 확인해보세요.
결론부터 말할게요
‘더위 먹었다’는 건 단순한 피곤이 아닙니다.
열탈진, 일사병, 심하면 열사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초기 경고 신호예요.
✔ 멍하고 기운 빠지고 식은땀 난다 → 열탈진
✔ 어지럽고 구토까지 → 일사병
✔ 의식 혼미하고 열이 40도 가까이 → 열사병 (응급 상황)
조기에 대처하면 금방 회복되지만, 방치하면 생명까지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더위 먹었다’는 정확히 어떤 상태인가요?
더위 먹었다는 건 보통 고온 환경에서 체온 조절 기능이 무너지며 생기는 증상을 말합니다.
의학적으로는 주로 아래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 열탈진 (heat exhaustion) – 가장 흔한 상태
- 일사병 (heat syncope or heat illness) – 햇빛 직접 노출에 의한 급격한 반응
- 열사병 (heat stroke) –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상태
더위 먹었을 때 나타나는 주요 증상
열탈진 (경증~중등도)
- 기운이 없고 나른함
- 집중력 저하
- 식은땀
- 약한 어지러움
- 피부는 차갑고 축축한 느낌
- 약한 두통
- 구역질, 식욕 저하
👉 바로 쉬면 회복 가능하지만, 무리하면 더 심해질 수 있어요.
일사병 (중등도 이상)
- 어지러움 심해짐
- 걸을 때 휘청거림
- 메스꺼움, 구토
- 두통이 심하게 느껴짐
- 심박수 증가
- 탈수 증상: 입 마름, 소변량 감소
👉 서늘한 곳에서 휴식, 수분 보충 필수. 30분 이상 회복 안 되면 병원 진료 필요.
열사병 (중증, 응급 상황)
- 체온 40도 이상
- 피부가 건조하고 붉음
- 식은땀이 안 남
- 의식 혼미, 헛소리
- 경련, 호흡 불안정
👉 119 응급 요청 필요!
즉시 병원 이송하지 않으면 생명 위협 가능.
더위 먹었을 때 이렇게 대처하세요
1. 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
- 그늘, 에어컨 있는 실내, 차 안(에어컨 작동 중일 경우)
- 옷은 헐렁하게 풀어주고 벗을 수 있으면 벗기기
2. 수분 보충
- 생수, 이온음료, 보리차 등 수분+전해질 함께 보충
- 너무 찬 물은 복통 유발 가능 → 미지근한 물 권장
- 커피, 탄산, 술은 금지!
3. 체온 낮추기
- 이마, 겨드랑이, 목 뒤, 무릎 뒤 등에 찬 수건 대기
- 가능하다면 시원한 물로 씻기 (미지근한 물 샤워)
- 얼음팩은 수건에 싸서 사용
4. 휴식과 관찰
- 30분 정도 쉬면서 증상 호전 확인
- 호전되지 않으면 병원 진료 꼭 받아야 해요
이런 경우엔 병원 가야 합니다
- 30분 이상 쉬어도 어지럽고 구토 계속
- 식은땀이 안 나고 몸이 계속 뜨거움
- 의식이 흐릿하거나 말이 어눌함
- 소변량 현저히 줄거나 색이 진해짐
- 기저질환(고혈압, 심장병, 당뇨 등) 있는 분이 더위 먹은 경우
👉 가까운 내과, 가정의학과, 응급의료센터에서 진료 가능
👉 고령자, 어린이, 임산부는 증상이 약해도 꼭 병원 가야 합니다
더위 먹지 않으려면? 예방이 최고입니다
✔ 낮 12시 ~ 5시 야외 활동 피하기
✔ 외출 시 챙 넓은 모자 + 양산 필수
✔ 외출 전 수분 미리 섭취 (목마를 때만 마시면 늦어요)
✔ 하루 2L 수분 섭취, 염분도 함께 조절
✔ 카페인·알코올은 땀과 수분 배출 촉진 → 피하기
✔ 냉방기기는 적절히, 실내외 온도 차 5 ~ 7도 이내 유지
마무리하며
더위는 그냥 덥다고 넘기면 안 되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몸이 보내는 신호를 ‘피곤해서 그래’ 하고 넘기지 마세요.
더위 먹었다 싶으면 바로 쉬고, 수분 보충하는 것만으로도 큰 위기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이 올여름 여러분의 건강을 지키는 작은 힌트가 되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모음
아스퍼거 증후군 초기 증상 – 자폐랑 어떻게 다를까요?
이 글은 이런 분들께 도움이 됩니다아이의 행동이 또래와 조금 다르게 느껴지는데 어디에 물어볼 곳은 없고,자폐까진 아닌 것 같은데 걱정이 계속되는 부모님이라면 이 글이 분명 도움이 될 거
livingking.tistory.com
2025 주택담보대출 규제 총정리 – 기존 계약자는 어떻게 되나요?
이 글은 이런 분들께 도움이 됩니다곧 집을 살 계획이 있거나 이미 계약을 마쳤는데 대출이 걱정되는 분들,이번 주담대 규제 강화가 나에게도 해당되는 건지 정확히 알고 싶은 분이라면꼭 끝까
livingking.tistory.com
역대급 대출 규제… 결국 중산층 사다리만 끊긴다?
이 글은 이런 분들께 드립니다내 집 마련이 꿈이지만, 대출 없이는 엄두도 못 냈던 분.“투자는 막아야지”는 동의하지만, 실수요자까지 묶이는 건 억울한 분들이라면 꼭 읽어주세요.결론부터
livingking.tistory.com
'살림 노트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풍기만 틀면 무릎이 시리세요? – 여름철 관절 통증, 진짜 이유와 해결법 (0) | 2025.07.01 |
---|---|
체리 효능과 칼로리 – 작지만 강한 여름철 건강과일 (0) | 2025.06.29 |
아스퍼거 증후군 초기 증상 – 자폐랑 어떻게 다를까요? (0) | 2025.06.29 |
항암에 좋다던 붉은사슴뿔버섯, 진짜 효과 있을까요? (0) | 2025.06.28 |
자세 하나 바꿨더니 통증이 줄었어요 – 목디스크에 나쁜 자세 vs 좋은 습관 (0)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