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림 노트/생활 꿀팁

2025년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 총정리

by 살림킹 2025. 4. 1.
반응형

2025년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 총정리

2025년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 총정리

연차 쓰기 좋은 날, 지금부터 계획하세요!


“딱 하루 연차만 쓰면 5일 연휴?
이번 설 연휴, 추석 연휴… 당신도 만들 수 있습니다.”

2025년, 황금연휴 기회가 무려 5번!
공휴일 캘린더만 잘 봐도 연차 아끼고 꿀휴가 만들 수 있어요.”

올해도 일만 하다 지나가시겠어요?
지금 연차 하나만 넣으면 9일 여행이 가능합니다.


한 해의 시작과 함께 많은 직장인들이 검색하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바로 ‘2025년 공휴일’, 그리고 ‘연차 쓰기 좋은 날’입니다. 연차는 단순히 쉬는 날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사용하면 일상에 여유를 주고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 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확정 공휴일과 대체공휴일 일정, 그리고 연차를 어떻게 쓰면 황금연휴를 만들 수 있는지 실전 팁까지 알려드릴게요. 휴가계획 세우시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1. 2025년 공휴일 한눈에 보기

2025년에는 총 67일의 공휴일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체공휴일 제도로 인해 휴일 수가 더 늘어난 해입니다.

  • 1월 1일 (수): 신정
  • 1월 28일(화) ~ 1월 30일(목): 설날 연휴
  • 3월 1일 (토): 삼일절
  • 3월 3일 (월): 삼일절 대체공휴일
  • 5월 5일 (월): 어린이날 & 부처님오신날 겹침
  • 5월 6일 (화): 대체공휴일
  • 6월 6일 (금): 현충일
  • 8월 15일 (금): 광복절
  • 10월 3일 (금): 개천절
  • 10월 5일(일) ~ 10월 7일(화): 추석 연휴
  • 10월 8일 (수): 대체공휴일
  • 10월 9일 (목): 한글날
  • 12월 25일 (목): 성탄절

2025년 공휴일 한눈에 보기


2. 연차를 더하면 황금연휴가 생긴다!

공휴일만으로는 아쉽지만, 연차를 하루 이틀만 추가하면 놀라운 휴가가 만들어집니다. 아래는 연차와 공휴일을 조합해 긴 연휴를 만들 수 있는 날짜들입니다.

설날 + 연차 조합

  • 연휴: 1월 28일(화) ~ 30일(목)
  • 연차 사용: 1월 27일(월), 31일(금)
  • 총 연휴: 1월 25일(토) ~ 2월 2일(일) → 9일 연휴

삼일절 대체공휴일 + 연차

  • 연휴: 3월 1일(토) ~ 3일(월)
  • 연차 사용: 2월 28일(금)
  • 총 연휴: 4일 연휴

5월 대체공휴일 + 연차

  • 연휴: 5월 5일(월), 6일(화)
  • 연차 사용: 5월 7일~9일
  • 총 연휴: 5월 3일(토) ~ 11일(일) → 9일 연휴

추석 + 개천절 + 한글날 슈퍼연휴

  • 연휴: 10월 3일(금), 5일(일), 7일(화), 8일(수), 9일(목)
  • 연차 사용: 10월 2일(목)
  • 총 연휴: 10월 1일(수) ~ 12일(일) → 12일 연휴

3. 연차 계획 시 꼭 알아야 할 팁

  • 회사 규정 확인: 사전 신청일, 부서별 제한 등 규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동료와 조율: 인기 시기엔 연차가 몰릴 수 있으니 미리 상의하세요.
  • 잔여 연차 확인: 미사용 연차는 사라지거나 수당으로 대체되므로 꼭 체크!

4. 정리합니다

2025년은 직장인에게 황금 같은 해가 될 수 있습니다. 대체공휴일 3회, 연차 하루만 써도 5일, 9일, 12일 연휴까지 가능하니까요.

올해는 휴가를 미루지 마세요. 공휴일 캘린더와 연차 전략을 미리 세우는 사람만이 쉴 때 제대로 쉬고, 일할 때 더 집중할 수 있습니다.

공휴일과 연차 관련 법규 정리

 

5. 공휴일과 연차 관련 법규 정리

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 유급휴가)

  • 1년 이상 80% 이상 출근 → 연 15일 유급휴가
  • 1년 미만 근무자 → 매월 개근 시 1일씩 발생
  • 3년 이상 근무 시 2년에 1일 가산 (최대 25일)

근로기준법 제62조 (연차 사용 촉진 제도)

  • 회사가 연차 사용 안내했는데도 미사용 시 → 소멸 가능
  • 단, 정해진 방식으로 촉진해야 하며, 미이행 시 수당 지급 의무 발생

공휴일 관련 법령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 2022년부터 5인 이상 사업장에도 공휴일 유급휴무 의무 적용

대체공휴일 제도

  • 어린이날, 설날, 추석, 부처님오신날, 크리스마스가 주말과 겹치면 →
    그 다음 평일이 대체공휴일로 지정됨
  • 대체공휴일도 유급휴일로 적용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