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사거나 업그레이드할 때 꼭 듣게 되는 말이 있어요.
바로 **“그래픽카드 뭐 쓰세요?”**라는 질문이죠.
하지만 그래픽카드 종류도 많고, 이름도 복잡해서
무엇이 좋은 건지, 어떤 걸 골라야 할지 헷갈리기 쉽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그래픽카드가 뭔지, 이름 속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어떻게 고르면 좋은지
처음 접하는 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드릴게요.
1. 그래픽카드는 무슨 역할을 하나요?
그래픽카드는 컴퓨터 화면에 이미지나 영상을 표시하고,
게임, 영상 편집, 디자인 작업 같은 ‘화면 작업’을 빠르게 처리해주는 부품이에요.
쉽게 말하면, 컴퓨터에서 ‘그림을 그려주는 담당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그래픽카드 만드는 회사는?
대표적으로 두 회사가 있어요.
- 엔비디아(NVIDIA): 지포스(GeForce) 시리즈로 가장 많이 사용됨
- AMD: 라데온(Radeon) 시리즈를 만듦
이 중에서도 엔비디아의 ‘지포스’ 시리즈가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쓰입니다.
3. 그래픽카드 이름, 이렇게 보면 됩니다
예: NVIDIA GeForce RTX 4060
- GeForce: 일반 소비자용 시리즈 이름
- RTX: 고급 기능이 들어 있는 그래픽카드 (실감나는 빛 표현 등)
- 4060:
- 앞의 '40': 세대 (높을수록 최신 제품)
- 뒤의 '60': 성능 등급 (숫자가 클수록 성능이 높음)
즉, RTX 4060은 40세대 중간 등급 제품이에요. GTX 1650보다 성능이 훨씬 좋습니다.
4. GTX와 RTX는 무엇이 다른가요?
두 가지 모두 엔비디아 제품이지만, 세대와 기능에 따라 다릅니다.
구분 GTX 시리즈 RTX 시리즈
세대 | 구형 (10~16번대) | 최신형 (20~40번대) |
기능 | 일반 그래픽 처리 | 고급 기능 지원 (빛 표현, DLSS 등) |
사용 용도 | 간단한 게임, 사무용 | 고사양 게임, 영상 편집, AI 작업 등 |
정리하자면:
일반적인 용도는 GTX로도 충분하지만, 게임, 영상, 그래픽 작업이 많다면 RTX 제품이 더 좋습니다.
5. 숫자 클수록 무조건 좋은 건가요?
꼭 그렇진 않아요. 세대와 등급을 함께 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 RTX 4060 > GTX 1660 → 성능 차이 큼
- RTX 3060 < RTX 3080 → 같은 세대 내에서도 등급 차이 존재
같은 세대에서는 숫자가 클수록 성능이 좋고, 세대가 다르면 최신 제품이 더 빠른 경우도 많습니다.
6. 그래픽카드, 용도별로 어떤 걸 쓰면 좋을까요?
사무/인터넷/문서 작업용
- 내장 그래픽만 있어도 충분
- 예: 인텔 내장 그래픽, AMD 라이젠 내장형
가벼운 게임용 (롤, 피파, 스타크래프트 등)
- GTX 1650, GTX 1660
- RTX 3050도 좋음
고사양 게임용 (배그, GTA, 스타필드 등)
- RTX 3060 이상 추천
- 해상도 높이면 RTX 4070 이상이 필요할 수 있음
영상 편집, 3D 디자인, 인공지능 작업용
- RTX 3070, 3080, 4070 이상
- 그래픽 메모리 용량도 중요
7. 중고 그래픽카드 구입 시 주의사항
- 가격이 너무 싸다면 채굴용으로 쓰인 제품일 수 있어요
- 쿨러 팬 상태와 온도 확인 필수
- 보증 기간(AS 가능 여부)을 꼭 확인하세요
- GPU-Z, FurMark 같은 프로그램으로 간단히 성능 확인도 가능해요
마무리
그래픽카드는 컴퓨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름과 숫자만 잘 이해하면, 나에게 맞는 제품을 어렵지 않게 고를 수 있어요.
이 글이
- 그래픽카드의 차이를 구분하고
- 내 용도에 맞는 사양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2025.03.25 - [살림 노트/디지털 활용법] - 컴퓨터 사양 볼 때 꼭 등장하는 'PassMark' 점수, 이게 뭔가요?
컴퓨터 사양 볼 때 꼭 등장하는 'PassMark' 점수, 이게 뭔가요?
컴퓨터 사양 볼 때 꼭 등장하는 'PassMark' 점수, 이게 뭔가요?요즘 노트북을 하나 사려고 검색하다 보면 'CPU 성능은 PassMark 점수 몇 점입니다' 같은 문장을 자주 보게 됩니다. 처음에는 무심히 넘기
livingking.tistory.com
2025.04.13 - [살림 노트/디지털 활용법] - 키보드 락 – 키보드가 안 먹힐 때 원인과 해제 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
키보드 락 – 키보드가 안 먹힐 때 원인과 해제 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
키보드 락 – 키보드가 안 먹힐 때 원인과 해제 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갑자기 키보드가 안 될 때, 당황하지 마세요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을 사용하다 보면어느 순간 키보드가 아무 반응 없이 멈
livingking.tistory.com
2025.02.20 - [살림 노트/디지털 활용법] - 초보 게이머를 위한 가성비 좋은 마우스 추천
초보 게이머를 위한 가성비 좋은 마우스 추천
초보 게이머를 위한 가성비 좋은 마우스 추천게이밍 마우스를 처음 선택하는 초보 게이머라면 가격과 성능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너무 비싼 마우스를 선택하면 부담이 크고, 너무 저렴
livingking.tistory.com
'살림 노트 > 디지털 활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입력 중입니다’ 기능 생겼다? 끄는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 (2) | 2025.05.21 |
---|---|
DDR4에서 DDR5로 바꾸면 파워도 올려야 할까? 현실적인 업그레이드 기준 (0) | 2025.05.18 |
아이폰 유심 서비스 인식 안됨? 단계별 해결 방법 총정리 (1) | 2025.05.18 |
넷플릭스 가족 계정 꿀팁! 프로필 설정부터 자녀 보호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5.18 |
“넷플릭스 다운로드 완전 정복! 저장 위치부터 오류 해결까지 한 번에” (0) | 2025.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