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계산법 총정리: 정확한 계산 방법과 꿀팁
퇴직금을 받을 예정이라면, 정확한 계산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퇴직금은 근로자의 권리이며,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중요한 재산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퇴직금 계산 공식, 자동 계산기 활용법, 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 계산법까지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퇴직금 지급 기준
퇴직금은 근로기준법 제34조에 따라 일정 요건을 충족한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다음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1년 이상 근무: 근속 기간이 1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 1주 15시간 이상 근무: 계약직, 아르바이트, 파트타임 근로자도 주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퇴직 후 14일 이내 지급: 퇴직금을 법적으로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해야 하며, 이를 초과하면 연 20%의 지연이자가 발생합니다.
2. 퇴직금 계산 공식
퇴직금 계산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아래 공식만 기억하면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총 근무일수 ÷ 365일)
1일 평균임금 계산법
1일 평균임금 = (최근 3개월간 총 급여 ÷ 해당 기간 총 근무일수)
3. 퇴직금 계산 예시
월급제 근로자의 퇴직금 계산
예제:
- 월급: 300만 원
- 근속 기간: 3년(1095일)
1. 1일 평균임금 계산
- 최근 3개월 급여 총액: 300만 원 × 3개월 = 900만 원
- 총 근무일수: 90일
- 1일 평균임금 = 900만 원 ÷ 90일 = 10만 원
2. 퇴직금 계산
퇴직금 = (10만 원 × 30일) × (1095일 ÷ 365일)
= 300만 원 × 3년
= 900만 원
👉 3년 근무 시 퇴직금은 900만 원입니다.
4. 퇴직금 자동 계산기 활용
퇴직금이 정확하게 계산되는지 확인하려면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퇴직금 계산기 사용 방법
-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접속
- 월 급여, 근속 기간 입력
- 자동 계산된 퇴직금 확인
이 방법을 활용하면 복잡한 계산 없이 정확한 퇴직금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 계산
퇴직금을 받을 때, 세금(퇴직소득세)이 공제됩니다.
퇴직소득세는 근속 연수에 따라 다르며, 세율이 점점 낮아지는 구조입니다.
퇴직소득세율
- 5년 이하 근무: 퇴직금의 약 6%
- 10년 이하 근무: 퇴직금의 약 3%
- 20년 이하 근무: 퇴직금의 약 2%
- 20년 초과 근무: 퇴직금의 약 1%
예를 들어, 퇴직금이 1,000만 원이라면,
- 5년 근속 시 퇴직소득세는 약 60만 원 공제
- 10년 근속 시 약 30만 원 공제
- 20년 근속 시 약 20만 원 공제
세금이 공제된 후의 실수령액을 고려하여 재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6. 퇴직금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 퇴직금 지급 기한을 넘기면 어떻게 되나요?
✔ 퇴직 후 14일 이내 지급하지 않으면 연 20% 지연이자 발생
Q. 계약직, 아르바이트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나요?
✔ 1년 이상, 주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퇴직금 지급 대상
Q. 퇴직금이 미지급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고용노동부 노동포털에 퇴직금 미지급 신고 가능
Q. 퇴직금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
✔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7. 마무리
퇴직금은 근로자의 중요한 권리이며, 정확한 계산법을 숙지하면 실수령액을 미리 예측할 수 있습니다.
퇴직금을 받지 못했다면 고용노동부에 신고하여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 사이트:
- 고용노동부 노동포털: https://labor.moel.go.kr
- 퇴직금 계산기: https://www.moel.go.kr
퇴직금 계산법을 정확히 알아두고, 퇴사 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합시다.
'머니 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최신] 육아휴직 급여 신청 방법 & 지급 기준 총정리 (0) | 2025.03.18 |
---|---|
2025년에도 든든한 버팀목, 실업급여 챙기세요! (1) | 2025.03.18 |
차상위계층 지원: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2) | 2025.03.15 |
퇴직금 미지급 신고 및 해결 방법 (1) | 2025.03.14 |
실업급여 금액 계산법! 내 급여로 얼마 받을까? (1)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