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림 노트/요즘 상식

돌잔치 축의금 봉투, 어떻게 써야 할까?

by 살림킹 2025. 4. 6.
반응형

돌잔치 축의금 봉투, 어떻게 써야 할까?

돌잔치 축의금 봉투, 어떻게 써야 할까?

처음엔 누구나 헷갈리는 봉투 작성법, 지금 정리해드립니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결혼식이나 장례식뿐만 아니라 돌잔치에도 참석할 일이 종종 생깁니다. 그럴 때마다 생각보다 고민되는 게 하나 있죠. 바로 축의금 봉투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입니다.

 

“봉투 위에는 뭐라고 써야 하지?”
“내 이름은 어디다 써야 할까?”
“혹시 이름 안 써도 되는 거 아냐?”

한 번쯤 이런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시죠?


이 글에서는 돌잔치에 사용할 축의금 봉투를 깔끔하고 예의 있게 쓰는 법을 차근차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한 번 읽어두시면 앞으로는 어떤 경조사 자리에서도 걱정 없으실 거예요.


1. 어떤 봉투를 써야 할까?

기본적으로는 세로형 봉투를 사용합니다.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흰 봉투도 괜찮고, ‘축하’ 또는 ‘축의’라고 인쇄된 전용 봉투도 많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요즘은 예쁜 무늬나 금박이 들어간 고급 봉투도 있지만, 돌잔치의 경우엔 깔끔하고 단정한 느낌이 가장 중요합니다. 화려함보다는 정중한 인상이 드는 봉투를 선택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2. 겉봉투에 쓰는 글씨는?

봉투 겉면에는 다음과 같이 작성하시면 됩니다.

  • 상단 중앙: 축의 또는 축하
  • 하단 중앙: 본인의 이름 (주는 사람)

여기서 가장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 ‘받는 사람 이름을 써야 하나요?’인데, 절대 아닙니다. 돌잔치의 축의금 봉투는 ‘누가 줬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이기 때문에, 주는 사람의 이름을 적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상단에 ‘축의’ 하단에 ‘홍길동’ 이런 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한자 이름이 익숙하다면 써도 무방하지만, 요즘은 대부분 한글 이름으로 간단히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겉봉투에 쓰는 글씨는


3. 봉투 안에는 어떤 돈을, 어떻게 넣어야 할까?

돌잔치는 아이의 첫 생일을 축하하는 소중한 자리인 만큼, 예의를 담은 새 지폐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새 지폐가 가장 좋고,
  • 새 돈이 어렵다면 최대한 구김 없는 지폐를 사용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현금을 넣을 때는 지폐의 방향도 정리해서 깔끔하게 넣어주세요. 봉투가 얇거나 종이 재질이 얇을 경우, 속이 비치지 않도록 속지(얇은 A4 등)를 덧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축의금 금액, 얼마나 넣는 게 좋을까?

축의금 금액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 다음과 같은 기준이 많이 사용됩니다.

  • 지인이나 직장 동료: 10만원
  • 친한 친구나 가까운 동료: 10만 ~ 20만원
  • 가까운 친척이나 가족: 20만 ~ 30만원 이상

금액은 대체로 홀수 단위(3, 5, 7만 원 등)가 선호됩니다. ‘짝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홀수를 더 길하고 좋게 여기는 전통적인 인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꼭 정해진 건 아니기 때문에 상대와의 관계, 자신의 상황에 맞게 정하시면 됩니다.


5. 이름 안 써도 괜찮을까?

가끔 “이름 안 써도 괜찮나요?” 하는 질문을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이름은 꼭 쓰시는 게 좋습니다. 돌잔치처럼 가족 단위로 초대되는 자리에서는 주최 측(보통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이 봉투를 하나하나 정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이름이 없으면 누가 줬는지 몰라 나중에 실례가 생길 수도 있어요. 잊혀지지 않게, 그리고 감사한 마음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꼭 본인의 이름을 적어주세요.

이름 안 써도 괜찮을까?


6. 축의금 봉투 실수, 이런 건 피해주세요

  • 받는 사람 이름 쓰기: 돌잔치 봉투는 주는 사람 이름을 씁니다.
  • 봉투에 이름 미작성: 정리할 때 혼동되기 쉽습니다.
  • 너무 낡은 지폐 사용: 성의 없어 보일 수 있어요.
  • ‘축하드립니다’ 같은 긴 문구: 봉투는 간단하고 정중하게 쓰는 게 기본입니다.

한눈에 정리: 돌잔치 축의금 봉투 작성법

  • 봉투 상단: ‘축의’ 또는 ‘축하’
  • 봉투 하단: 본인 이름 (주는 사람 기준)
  • 지폐 상태: 새 돈 또는 구김 없는 현금
  • 추천 금액: 지인 10만원 / 친구 10~20만원 / 가족 20~30만원 이상
  • 이름 미작성: 혼동 우려 있으므로 꼭 기재할 것

돌반지 vs 현금


마무리하며

돌잔치에 참석하는 마음은 이미 정성이 담긴 행동입니다. 하지만 그 마음이 겉으로도 예의 있게 전달되려면, 축의금 봉투 작성법도 알고 가는 게 좋겠죠. 오늘 알려드린 내용만 기억하신다면 앞으로 어떤 경조사 자리에서도 망설이지 않고 당당하게 봉투를 전달하실 수 있을 거예요. 다음에는 결혼식 축의금 봉투 쓰는 법, 그리고 부의금 봉투 작성법도 정리해드릴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