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
매달 나오는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면, 도대체 어떻게 계산된 건지 도무지 모르겠는 분,
‘왜 이렇게 많이 나왔지?’ 궁금하지만 알아보기도 복잡했던 분들께 이 글이 도움이 될 거예요.
결론부터 말할게요
전기요금은 단순히 “전기 많이 쓰면 많이 낸다”의 문제가 아닙니다.
누진제 구조 + 기본요금 + 연료비 조정단가 + 기후환경요금 + 부가세까지
구조를 알면, 내가 왜 이만큼 냈는지 정확히 이해할 수 있어요.
✔ 단순 kWh 사용량만 보는 게 아니라
✔ 단계별 요금과 기본요금 체계까지 확인해야
✔ 실질적으로 전기를 덜 쓰고도 요금을 아낄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 계산 공식은 이렇게 생겼어요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료비 조정단가 + 부가가치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조금 복잡하게 보이지만, 하나씩 설명드릴게요.
1. 기본요금 (월 정액)
사용량과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부과되는 요금’입니다.
계량기 용량(kW)에 따라 고정 금액이 부과돼요.
일반 가정은 대부분 ‘저압 가정용’이고,
보통 3kW 기준 월 910원입니다.
- 3kW 이하: 910원
- 4~5kW: 1,600원
- 6kW 이상: 2,730원
※ 이건 우리가 직접 바꿀 수는 없지만, 전력 사용량이 많으면 자동으로 올라가는 경우도 있어요.
2. 전력량요금 (가장 큰 부분)
이게 우리가 전기를 얼마나 썼느냐에 따라 계산되는 ‘본요금’입니다.
누진제 구조로 3단계로 구분됩니다. (저압 기준)
- 1단계 (0~200kWh): 114.2원/kWh
- 2단계 (201~400kWh): 210.6원/kWh
- 3단계 (400kWh 초과): 274.3원/kWh
🔎 예시) 450kWh 사용 시
- 1단계: 200 × 114.2 = 22,840원
- 2단계: 200 × 210.6 = 42,120원
- 3단계: 50 × 274.3 = 13,715원
→ 총 전력량요금: 78,675원
👉 이처럼 조금만 초과해도 요금이 급격히 올라가는 이유가 누진제 때문입니다.
3. 기후환경요금
전력 사용에 따른 환경 비용 분담 개념입니다.
2025년 기준 약 11.3원/kWh 수준입니다.
사용량이 많을수록 이 요금도 같이 올라가죠.
🔎 450kWh × 11.3원 = 5,085원
4. 연료비 조정단가
국제 유가, 천연가스 가격에 따라 매월 변동되는 항목입니다.
한국전력공사가 공지한 당월 기준 단가를 곱해서 계산합니다.
예) 2025년 7월 연료비 조정단가: -2.0원/kWh
→ 마이너스일 경우 할인, 플러스면 추가 요금 발생
🔎 450kWh × (-2.0) = -900원
5. 부가가치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모든 요금 합계의
- 10%는 부가세
-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의 3.7%는 전력산업기반기금
예)
- 전기요금 합계가 9만 원이라면
- 부가세: 9,000원
- 전력기금: 약 2,700원 추가
실제 전기요금 계산 예시 (450kWh 사용 시)
항목 | 계산식 | 금액 |
기본요금 | 3kW = 정액 | 910원 |
전력량요금 | 누진제 계산 | 78,675원 |
기후환경요금 | 450 × 11.3 | 5,085원 |
연료비조정 | 450 × (-2.0) | -900원 |
소계 | 위 합계 | 83,770원 |
부가세 | 10% | 8,377원 |
전력산업기반기금 | 약 3.7% | 2,971원 |
총합계 | 95,118원 |
👉 실제 고지서에 적힌 금액과 거의 비슷하게 나올 겁니다.
전기요금, 이렇게 하면 줄일 수 있어요
✔ 누진 구간에 안 걸리게 사용량 조절
→ 399kWh까지만 쓰는 게 핵심!
✔ 시간대별 전력 분산
→ 피크타임(오후 2~5시) 사용 줄이기
✔ 에너지 캐시백 제도 참여
→ 사용량 줄이면 현금처럼 포인트 지급
✔ 대기전력 차단
→ 하루 1~2kWh씩도 줄일 수 있음
마무리하며
전기요금, 겉으로 보기엔 단순한 것 같아도
한 번이라도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면 줄일 방법이 보입니다.
전기를 줄이려면 무작정 안 쓰는 것보다, ‘요금 체계’를 이해한 뒤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게 훨씬 효과적이에요.
이번 여름, 누진구간만 피해도
전기요금은 ‘체감 가능할 정도로’ 줄어듭니다.
요금 폭탄 피하려면,
오늘부터라도 내 전력 사용량 체크해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모음
대기전력, 그냥 두면 전기요금 샌다 – 진짜 아껴지는 플러그 관리법
이 글은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전기요금이 왜 이렇게 많이 나오는지 모르겠는 분,가전제품을 다 껐는데도 ‘왜 여전히 전기세가 높은지’ 궁금했던 분들께 이 글이 도움이 될 거예요.결론부터
livingking.tistory.com
선풍기 에너지 절약 모드 설정법 – 진짜 아껴지는 기능은 따로 있어요
이 글은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에어컨은 하루 종일 틀기 부담스럽고, 선풍기라도 아껴 써야지…” 생각하는 분,‘자연풍’, ‘리듬풍’, ‘타이머’ 이런 기능이 도대체 뭔지,전기세랑 정말
livingking.tistory.com
전기요금 폭탄 피하려면? 여름철 전기요금 아끼는 실전 팁
이 글은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올여름 에어컨 없이 살 수 없는데 전기요금은 무섭고,뉴스에서 ‘요금 인상’, ‘전력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걱정이 앞서는 분들께 도움이 될 거예요.특히
livingking.tistory.com
'살림 노트 > 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권 재발급, 이렇게 하면 쉽습니다 – 2025년 여권 재발급 방법 완전정리 (0) | 2025.07.01 |
---|---|
전기요금을 못 내면 어떻게 될까요? – 연체 시 불이익과 대처법 총정리 (1) | 2025.06.29 |
대기전력, 그냥 두면 전기요금 샌다 – 진짜 아껴지는 플러그 관리법 (0) | 2025.06.29 |
선풍기 에너지 절약 모드 설정법 – 진짜 아껴지는 기능은 따로 있어요 (0) | 2025.06.29 |
전기요금 폭탄 피하려면? 여름철 전기요금 아끼는 실전 팁 (0) | 2025.06.29 |